반응형 Book130 전 세계 51개국, 2100만 독자를 감동시킨 최고의 소설 [연을 쫓는 아이] 할레드 호세이니 지음 1. 뉴스에서만 봐왔던 아프가니스탄의 이야기를 이 소설을 통해 더욱 사실적으로 알게되어 공산화가 된 아프가니스탄을 간접경험해본 느낌이다. “모든 글은 자전적인 요소를 포함한다” 아프간 출신의 미국작가 할레드 호세이니의 첫 소설은 아미르와 그의 아버지 바바가 공산화된 아프가니스탄을 가까스로 탈출하여 미국에서 망명자로 살아가는 모습은 작가 호세이니와 그의 가족이 미국에서 망명하며 살아야 했던 그의 삶이 투명된 것이라고 봐도 무방하지 않을까 싶다. 2. 소설이라고 하지만 어쩌면 작가의 실제 삶에 대한 에세이에 가까운 글인 거 같았고 평화롭던 아프가니스탄에서 탈레반에 의해 공산화가 된 아프가니스탄의 현실을 주인공 아미르와 그의 하인 하산과의 우정과 배신 그리고 그 배신에 대한 속죄를 갚기 위한 아미르의 이야기를.. 2022. 4. 24. 책 서평 [동물은 어떻게 슬퍼하는가] 바버라 J. 킹 지음 1. 동물들이 사랑하는 대상을 상실함에 따라 슬퍼하는 것인지, 아니면 그저 일상의 변화와 관련된 불안함을 드러내는 것인지 동물행동학자들 사이에서도 의견이 분분하다. 회의론자들은 동물 애호가들이 툭하면 인간의 감정을 다른 동물들에게 적용한다며 지나친 의인화라고 하지만 나는 동물도 사람과 동일한 감정을 가지고 있다고 믿는다. 2. 특히 개의 경우 꽤 쉽게 사랑이란 감정을 발견한다. 개들이 온몸으로 사랑을 표현할 때는 못 알아보기가 더 어렵다. 우리를 만나면 맑은 눈망울에 기쁨이 넘쳐흐르고, 온몸으로 에너지를 발산하며 연신 꼬리를 흔들어대니까. 개의 충성심과 뒤엉켜있다. 우리 부모님도 2010년도 부터 푸들 한 마리를 키운다. 이름은 태양이다. 우리 집이 나와 내 동생이 선 돌림이라 SUN으로 하고 태양이라는.. 2022. 4. 23. 독서 인터뷰 리얼 후기 [북스타그래머를 독서하다] https://www.instagram.com/jose_bookstagram/ 2022. 4. 22. 책 서평 [NFT 레볼루션 ] 성소라 지음 1. “모두가 볼 수 있지만 소유하는 사람은 단 한 명뿐 " 현재 NFT를 잘 담아낸 말이다. 2. 어떻게 보면 NFT를 구매하는 것은 캐릭터 카드를 수집하는 것과 비슷하다. 요즘 없어서 못 판다는 포켓몬스터 띠부띠부를 수집한다고 할 때 특정 캐릭터가 그려진 카드만을 소유하게 되는 것이지. 실제로 그 캐릭터 자체를 소유한다거나 캐릭터를 상업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권리까지 소유하게 되는 것은 아닌 것처럼 말이다. 3. NFT의 경우에도 구매자에게 토큰에 대한 소유권만이 이전될 뿐, 토큰이 나타내는 자산 자체에 대한 소유권이나 저작권까지 이전되는 건 아니다. 저작권에서 소유권만을 분리해 거래되도록 한 것은 그야말로 획기적인 발상이라 할 수 있다. 다만, 이 때문에 원작자와 구매자 사이에 의도치 않은 법적 문.. 2022. 4. 21. 책서평 [그렇게 아버지가 된다] 윤용인 지음 1. 나는 정말 안 걸릴 줄 알았는데 슈퍼 유전자가 있다면 분명 내가 가졌을 것이라고 허세 섞인 이야기를 많이 했는데 내가 코로나 확진이 되었었다. 추측컨데 우리 세연이가 유치원으로부터 확진이 되었고 가족 전체로 확진을 받았다. 확진되고 나서 세연이 걱정을 많이 했었는데 우리 중에 가장 빨리 나았고 증상도 미미했다. 자가격리 동안 제일 신났었다. 7일 동안 2. 같이 격리하는 동안 얼마나 놀아달라고 하는지 분명 방금 놀았는데 안 놀았다고 또 놀자고 울고, 그래서 놀았더니 또 놀자고. 놀자 무한반복. 결국엔 화내고 울면서 끝이난다. 갑자기 조용히 해서 몰래 보고 있으면 혼자 인형으로 모노드라마를 찍고 있다. 안쓰럽다. 가끔 금쪽이에서 오은영 박사님으로부터 큰 깨달음을 받으면 세연이한테 잘해야지 잘해야지 하.. 2022. 4. 20. 책서평 [잘했고 잘하고 있고 잘 될 것이다 ] 정영욱 지음 1. 내 팀원이 4월 부로 회사를 떠났다. 6년 전 회사에 없던 팀이 생기면서 지금까지 나와 같이 가족보다도 시간을 많이 보냈던 후배다. 그동안 많은 리더십 책을 읽었고 조직에 대한 책을 읽으면서 어떻게 하면 팀을 효율적으로 스마트하게 운영하면서 퍼포먼스를 낼 수 있게 할까? 팀원에게 동기부여를 주면서 어떻게 성장시킬 수 있을까? 등의 고민을 했었는데 그걸 실행하는 데에 중심에는 그 후배가 있었다. 2. 같은 팀이지만 담당하고 있는 공장이 떨어져서 1주일에 1번 만나는데 최근에 봤을 때 표정이 너무 안 좋아서 무슨일 있냐고 물으니 사실을 최근에 면접을 봤다고 털어놓았다. 사실은 그 이야기를 듣고 아무렇지 않은 척 했지만 후배의 솔직함에 놀랐고, 배신감(?) 같은 걸 느끼기도 했다. 회사는 힘들지만 이 후.. 2022. 4. 19. 이전 1 2 3 4 5 6 7 ··· 2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