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Be bright, Be positive and Be humble
  • Be bright, Be positive and Be humble
Book

어른이 되면 될 수록 힘이 드는 사람을 위한 책 [ 아무것도 모른 채 어른이 되었다]

by 메종드호세 2021. 9. 21.
반응형

아무것도 모른채 어른이 되었다. - 을냥이 지음

1. 나이가 들면 들수록 어른이라고 보통 말한다. 그럼 39살의 나도 어른인가?!
얼마나 나이를 먹어야 어른인 거지?!
네이버 사전에 처음으로 어른이란 단어를 검색해봤다.


1)다 자란 사람. 또는 다 자라서 자기 일에 책임을 질 수 있는 사람.
2) 나이나 지위나 항렬이 높은 윗사람
3) 결혼을 한 사람을 어른이라고 한다.


나는 사실 하나도 어른스럽지 않은데... 책의 제목과 정말 똑같이 아무것도 모른 채로 어른이 되었다. 힘들면 힘들다. 슬프면 슬프다를 표현하는 것조차 어른이라는 껍데기로 가리려는 노력을 많이도 한 거 같다.

2. 진정한 내 편은 나를 위한 말을 아낌없이 해주는 사람이다.


"내 마음에게 상냥하게 말해주세요. 나는 못해, 나는 잘하는 게 없어. 나는 못났어 같이 부정적인 말을 하는 어른이 되지 말았으면 해요. 우리 마음은 어린 아이고, 아직 자라고 있는걸요."


훌륭한 어른은 실수 없이 완벽한 사람이 아니라 실수에서 배우고 천천히 계속 나아가는 사람이다.

3. 모든 사람이 나를 좋아하지 않듯이, 나를 싫어하지 않는 사람도 있다. 그러니 내 마음 다쳐가며 싫다는 사람의 마음을 돌리려 애쓰기보단 나를 좋아해 주는 사람들에게 집중하는 것이 훨씬 행복한 일이다.

4. 어른이 되는 순간 우리는 자유에 따른 책임이라는 것을 얻게 된다.

삶은 선택의 연속이다. 선택에 따른 모든 책임이 나에게 돌아오고 가끔은 인정받지 못하거나 비수가 되어 날아올 때도 있다.
최선의 선택을 하되. 내가 한 선택을 후회하지 않으면 된다. 모두가 시행착오를 겪으며 성장한다. 잘못된 길을 선택했다면 다시 되돌아오거나 잠시 휴식하며 다른 길을 찾아 천천히 걸어가면 된다.
누구나 실패는 하고 성공의 배후에는 어느 시점에나 실패가 도사리고 있다. 성공한 이들이 계속 도전해 성공을 거머쥐는 이유는 그것을 실패라고 생각하지 않기 때문이다.


"연습이었다 생각해. 부족해도 괜찮아. 얼마든지 다시 하면 돼. 실패한다고 해서 죽지 않아. 멀쩡해"

5. 살아가다 보면 얻는 것도 많고 잃어버리는 것도 많다.

사실 얻었을 때의 성취감보다 잃어버렸을 때의 고통이 더 크게 와닿는 것 같다. 물건마저 그렇다.
가졌던 것을 잃어버렸다는 상실감과 고통에 집착해 새로운 것을 얻을 기회까지 잃어버리는 경우가 있다.

세상에는 영원한 것도, 영원히 머무는 것도 없다.
잃어버리지 않더라도 마음이 떠나면 잊어버리거나 내 손으로 떠나보내듯이, 그것에 집착하느냐 아니냐가 문제인 것 같다.

"내가 힘든 건 오늘로 끝내야 해. 내일의 나를 위해서. 내일도 오늘도 똑같은 마음을 가진다면 모레도 똑같은 상태일 거야. 그렇게 된다면 더 나아갈 수 없어. "

6. 사람의 손길이 닿지 않는 방에는 금방 먼지가 쌓이고 관리하지 않는 물건은 금방 망가져 버리듯 마음 역시 그렇다.

결국 다시는 볼 수 없게 되었을 때, 당신은 오랜 시간 방치되어 켜켜이 먼지를 뒤집어쓴 상대의 마음을 뒤늦게 발견하고 후회할 수밖에 없다.
지나고 나서 더 표현할 걸 후회하지 말고, 내가 못나게 굴 때도, 무너졌을 때도 묵묵히 곁을 지켜주는 사람들을 당연하게 여기지 말고, 감사한 마음을 가득 담아 아낌없이 사랑을 표현해 보는 건 어떨까?
사람이든 관계든 영원하지 않기 때문에, 바로 그 이유 때문에 소중하다.


인간관계에 지친 사람을 위하여 힐링이 되느니 책추천

 

👇 👇 👇 👇 👇 👇 👇 👇 👇 👇 

 

인간관계에 지친 사람을 위한 책 ' 인간관계착취 '

 

인간관계에 지친 사람을 위한 책 ' 인간관계착취 '

1. 나이를 먹으면 먹을수록 인간관계가 어렵다는 걸 깨닫는다. 그리고 사회생활을 하면 할수록 느끼는 점은 사람이 제일 무섭다는 것이다. 생각해보면 어느 순간부터, 혼자가 편하다고 느꼈는데

maisondejose.tistory.com

 

 

반응형

댓글